관용구 플러그인
관용구 플러그인으로 자주 사용하는 텍스트를 (관용구라고 합니다) 저장하고, 저장해 놓은 관용구를 빠르게 문서에 입력합니다.
관용구는 현재 문서의 언어 문법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HTML 문서 작업을 하는 경우, HTML에서 유용한 관용구 목록에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어떤 관용구는 파일 형식에 관계 없이 모든 문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edit에 여러가지 내장 관용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관용구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 10.10.1. 관용구 넣기
- 10.10.2. 관용구 추가하기
- 10.10.3. 관용구 편집 및 지우기
- 10.10.4. 관용구 대체
10.10.1. 관용구 넣기
관용구를 문서에 넣으려면, 그 탭 트리거을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십시오. 관용구의 탭 트리거는 보통 그 관용구의 맨 앞의 글자이거나, 짧고 기억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다른 방법으로, Ctrl+스페이스 키를 누르면 넣을 수 있는 관용구 목록이 나타납니다.
10.10.2. 관용구 추가하기
새 관용구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
관용구 관리자 창이 열립니다.
를 선택하십시오. -
관용구 목록은 언어마다 묶여 있습니다. 관용구를 추가하려는 언어를 선택하거나, 그 언어 안의 관용구를 선택하십시오. 모든 언어에 대해 새 관용구를 추가하려면, 목록의 맨 위에 있는 전체를 선택하십시오. 처음에는 기본값으로 현재 작업하고 있는 문서의 언어를 표시합니다.
-
를 누르십시오. 새 관용구가 목록에 나타납니다.
-
새 관용구에 대해 다음 정보를 입력하십시오:
- 이름
-
관용구 목록 안의 텍스트 입력란에서 관용구의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관용구의 이름은 그 관용구의 목적을 알리는 용도일 뿐입니다. 목록의 관용구를 눌러서 새로 만든 관용구의 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 관용구 텍스트
-
관용구 편집 텍스트 상자에서 관용구의 텍스트를 입력하십시오. 사용할 수 있는 특수 코드에 대해서는, 10.10.4항 ― 관용구 대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관용구 관리자 창을 닫지 않고 문서 창으로 돌아가서 텍스트를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 탭 트리거
-
관용구의 탭 트리거를 입력하십시오. 탭 트리거는 관용구를 입력할 때 Tab 키를 누르기 전에 입력할 텍스트를 말합니다.
태그는 문자로만 이루어진 한 개의 단어이거나, 아니면 한 글자여야 합니다. 잘못 입력하면 탭 트리거를 빨간 색으로 강조합니다.
- 바로 가기 키
-
관용구를 넣을 때 사용할 바로 가기 키를 입력하십시오.
10.10.3. 관용구 편집 및 지우기
관용구를 편집하려면, 목록에서 선택한 다음 그 텍스트와 활성화 속성을 바꾸십시오.
관용구의 이름을 바꾸려면, 목록에서 관용구를 다시 누르십시오.
직접 바꾼 내장 관용구를 원래대로 복구하려면, 되돌리기를 누르십시오.
관용구를 지우려면, 목록에서 선택하고
를 누르십시오. 내장 관용구는 지울 수 없고, 직접 만든 관용구만 지울 수 있습니다.10.10.4. 관용구 대체
저장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관용구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관용구를 문서에 입력한 다음에 입력할 텍스트의 위치를 알려 주기도 합니다.
관용구 텍스트에서 다음 입력 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탭 입력 위치
-
$n은 n이 1 이상의 숫자인 탭 입력 위치입니다.
${n:default}은 기본값에 대한 탭 입력 위치입니다.
탭 입력 위치는 관용구 텍스트에서 관용구를 입력한 다음에 추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합니다.
탭 포매팅 코드를 사용하려면, 관용구를 평소와 같이 입력합니다. 커서가 첫 번째 탭 위치에 있습니다. 텍스트를 입력하고 Tab 키를 누르면 다음 탭 입력 위치로 이동합니다. 탭 입력 위치 코드의 번호는 탭으로 이동하는 순서를 지정합니다.
Shift+Tab 키를 누르면 이전의 탭 입력 위치로 돌아갑니다. 탭 입력 위치가 더 없을 때 Tab 키를 누르면 커서를 관용구 텍스트의 맨 끝으로 옮기거나, 끝 입력 위치가 있으면 거기로 커서를 옮깁니다.
- 미러 입력 위치
-
반복 입력 위치는 이미 정의한 입력 위치의 텍스트를 따라갑니다. 이 방법으로 관용구에서 여러번 써야 하는 텍스트를 한번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끝 입력 위치
-
$0이 끝 입력 위치를 지정합니다. 끝 입력 위치를 사용하면 관용구를 관용구 텍스트의 끝이 아닌 커서 위치에서 관용구를 끝마칠 수 있습니다.
- 환경 변수
-
$PATH와 $HOME과 같은 환경 변수를 관용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edit 전용의 다음과 같은 변수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EDIT_SELECTED_TEXT
-
현재 선택한 텍스트.
- $GEDIT_FILENAME
-
문서의 전체 파일 이름, 문서를 저장하지 않았으면 빈 문자열.
- $GEDIT_BASENAME
-
문서의 파일 이름의 폴더 부분을 제외한 이름, 문서를 저장하지 않았으면 빈 문자열.
- $GEDIT_CURRENT_WORD
-
문서의 커서 위치에 있는 단어. 이 변수를 사용하면 현재 단어를 관용구로 바꿉니다.
- 쉘 입력 위치
-
$(cmd)는 쉘에서 cmd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로 바뀝니다.
$(n:cmd)로 이 입력 위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숫자입니다. $n을 사용하면 한 개의 쉘 입력 위치의 출력 내용을 다른 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파이썬 입력 위치
-
$<cmd>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cmd의 값을 계산한 결과로 바뀝니다.
$<a:cmd>는 다른 파이썬 관용구에 의존성을 지정하고, 여기서 a는 관용구의 순서를 말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 다른 관용구에 정의한 파이썬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존성을 여러 개 지정하려면, 숫자를 쉼표로 구분하십시오: $<a,b:cmd>
다른 파이썬 관용구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global로 선언하십시오.